전체 글227 [IoT] 사물인터넷(IoT) & 만물인터넷(IoE) 사물인터넷(IoT) 용어의 등장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9년 P&G에서 브랜드 매니저를 하던 케빈 애쉬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케빈은 P&G에서 RFID를 이용한 유통망의 가시성에 대한 강연을 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케빈이 말했던 사물인터넷 처음에는 마크 와이저 박사가 말했던 유비쿼터스 컴퓨팅처럼 인터넷이 도처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통해 물리적인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했지만 이후에는 사물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람을 언급한다. 즉, 사물인터넷은 사물지능통신망이나 무선 센서네트워크처럼 기존에 사물들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확장된 개념이라 생각할 수 있다. IoT와 M2M의 차이? 사람들은 이 용어를 엄밀히 구분해서 말하기보다.. 2022. 9. 22. [S/W] S/W 개발 과정 전반에 공학의 원리 도입과 S/W의 변화 * 학기 중 공부했던 내용 정리하는 중... S/W의 개발 단계는 분석 > 설계 > 구현 > 검증(Testing) 순이다. S/W 비용은 분석 단계와 검증(Testing)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높음을 Boehm이 추정했다. 단계별로 투자 비중이 높은 S/W 분석, 설계 단계 - 과학 관련 S/W(물리학, 천문학, 화학) 구현 단계 - 게임 등 관련 S/W 검증(Testing) 단계 - 인간 생명 등 관련 S/W Boehm의 이론 Verification(검증) - S/W의 요구사항 만족 여부를 검증, 개발자나 Test 수행자의 관점이다. Validation(확인) - 실제 환경에서 고객이 원하는대로의 작동 여부를 확인, 사용자 관점이다. 검증(Testing)의 종류 검증의 종류 Black Box Testin.. 2022. 9. 21.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ER Mode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 1. 데이터베이스(Database)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3. 데이터 모델(Data Model) : 눈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인 개념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법에 관한 내용 (이 외에도 데이터베이스 언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라는 추가 구성 요소가 존재) 데이터 모델(Data Model)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론적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저장되는지 결정한다. 객체 기반 논리적 모델 - ER Model(entity relationship model) - Object-ori.. 2022. 9. 20. [S/W] S/W Engineering(소프트웨어 공학)의 정의 * 학기 중 공부했던 내용 정리하는 중... S/W Engineering 의 출현 S/W Engineering - 1960년대 후반(1968년)에 "Software Crisis"라는 주제의 NATO 국제 학술대회에서 "S/W Engineering"이란 용어가 처음 소개되었다. *NATO: 냉전이 시작된 1949년, 집단안전보장조약인 북대서양 조약에 의해 탄생한 북미와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의 군사동맹이다. S/W 의 현재 상황 S/W의 현재 - 컴퓨터 H/W의 가격 하락 > 컴퓨터의 사용양적 팽창 > 대부분의 개인/조직이 컴퓨터 시스템에 종속함 > S/W가 시스템의 비용 중 큰 비중 차지 (결론: S/W의 중요도 상승, H/W 가격 하락, S/W의 가격 상승) Small S/W - 간단함, 개인 관리 가능.. 2022. 9. 19.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 4 https://conquer-it.tistory.com/132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 3 11. 적군 만들어 주기 총알 발사까지 마친 상태에서 다음으로 만들 것은 적군이다. 적군의 특징으로는 적군의 특징 1. 적군의 위치는 랜덤하다. 2. 적군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온다. 3. n초마다 적군이 생성된다. 4. 적군이 바닥에 닿으면 게임이 종료된다. 5. 적군과 총알이 만나게 되면 적군은 사라지고 스코어가 1씩 올라간다. 총알 만드는 것처럼 적군도 클래스를 만들어 줘야 한다. const generateRandomValue =(min,max)=>{ let randomNum = Math.floor(Math.random()*(max-min-1))+min; return randomNum; } let e.. 2022. 9. 18.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전송층 서비스, 전송층 프로토콜 전송층 서비스 1. 전송층은 응용층과 네트워크 층 사이에 위치 2. 두 응용층 사이에서 프로세스 - 대 - 프로세스 통신을 제공 3. 통신은 논리적 연결을 이용하여 제공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전송층 프로토콜의 첫번째 의무는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제공 (프로세스: 전송층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응용층 객체(동작하는 프로그램)) 네트워크층은 컴퓨터 레벨(호스트-대-호스트)에서 통신 - 네트워크층 프로토콜은 메세지를 단지 목적지 컴퓨터에 전달 - 메세지는 정확한 프로세스에게 처리되어야 하며 이것이 전송층 프로토콜에서 수행됨 전송층 프로토콜은 적절한 프로세스에게 메세지를 전달할 책임이 있음 포트 번호(Port Number) - 통신을 위해서는 로컬 호스트, 로컬 프로세스, 원격 호스트, 원격 프로세스를 .. 2022. 9. 17.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 3 https://conquer-it.tistory.com/131?category=1065783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 2 7. 총알 생성을 위한 스페이스바 이벤트 생성하기 스페이스바가 눌렸을 때 총알이 발사 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선, 우리가 만들어 놓은 keyup 이벤트에 스페이스바를 추가하면 된다. (keydown 이벤트에 총알발사를 추가하게 되면 난이도가 굉장히 쉬워지기 때문에 keyup에 적용) //방향키 이벤트 let keysDown = {}; const setupKeyboardListener=()=>{ document.addEventListener("keydown",(event)=>{ keysDown[event.key] = true; }); document.addEventL.. 2022. 9. 16. [IoT] 사물인터넷(IoT)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 사물인터넷이라는 개념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1991년 Xerox 팔로알토 연구센터의 마크와이저 박사는 21세기 컴퓨터에 관한 글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개념을 처름 소개했다. 마크와이저 박사의 21세기 컴퓨터에 관한 글 일부 - The most profound technologies are those that disappear. They weave themselves into the fabric of everyday life until they are indistinguishable from it. (가장 심오한 기술은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일상생활로 비집고 들어간 것이다.) * 가장 심오한 기술인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난다고 강조하고 있다.. 2022. 9. 15. [WEB]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 2 https://conquer-it.tistory.com/130 HTML/CSS/JS로 게임 만들기1 5. 방향키에 이벤트 주기 우선 방향키를 눌렀을 때 우주선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방향키에 이벤트를 주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를 만들어 키보드 이벤트를 줘 보자. const setupKeyboardListener=()=>{ document.addEventListener("keydown",(event)=>{ console.log("어떤 키가 눌렸나",event.key) }); } 이벤트리스너에 키보드로 움직이는 것이다 보니 click이 아니라 keydown 이벤트를 주었다. 그 후 잘 동작하는지 보기 위해 console을 해 주었다. (잘 나오고 있다.) 우리가 누른 값이 저장이 되어야 우주선이 움직일 .. 2022. 9. 1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