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물인터넷8

사물인터넷의 활성화 배경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활성화된 배경은 산업적 측면, 비즈니스 환경적인 측면, 기술적인 측면, 정부 정책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1. 산업적 측면 생산성의 증대, 비용의 축소, 신속한 고객대응 등과 같은 전통적인 산업의 효율화 부분과 컨버전스 기반의 새로운 사업 영역 발굴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2. 비즈니스 환경적인 측면 롱테일형 비즈니스와 관련된 산업구조의 변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3. 기술적인 측면 부품이나 제품의 소형화, 가격의 수용성, 비유선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4. 정책적인 측면 사물인터넷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1. 산업적 측면의 사물인터넷 활성화 배경 모든 기업은 이윤(Prof.. 2022. 10. 14.
[IoT] 사물인터넷의 역사 사물인터넷(IoT)의 역사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9년이다. 그렇다고 해서 사물인터넷의 역사가 1999년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굳이 특정해서 말하자면 전화나 컴퓨터가 아닌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기술에 의해 개발된 장치들이 최초로 연결된 것은 1847년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무치가 개발한 기계식 전화기인 '텔레트로포노'다. 물론 최초의 전기식 전화기를 개발(1860년)한 것도 안토니오 무치이다. (벨은 전기식 전화기에 대한 특허를 1876년에 최초로 등록한 사람이다.) 사물인터넷의 개념이 최초로 적용된 것은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교의 콜라 자판기이다. 1982년 카네기멜론 대학교 컴퓨터 과학과의 대학원생들이 실험실 책상에서 .. 2022. 10. 3.
[IoT] 사물인터넷(IoT) & 만물인터넷(IoE) 사물인터넷(IoT) 용어의 등장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9년 P&G에서 브랜드 매니저를 하던 케빈 애쉬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케빈은 P&G에서 RFID를 이용한 유통망의 가시성에 대한 강연을 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케빈이 말했던 사물인터넷 처음에는 마크 와이저 박사가 말했던 유비쿼터스 컴퓨팅처럼 인터넷이 도처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통해 물리적인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했지만 이후에는 사물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람을 언급한다. 즉, 사물인터넷은 사물지능통신망이나 무선 센서네트워크처럼 기존에 사물들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확장된 개념이라 생각할 수 있다. IoT와 M2M의 차이? 사람들은 이 용어를 엄밀히 구분해서 말하기보다.. 2022. 9. 22.
[IoT] 사물인터넷(IoT)의 정의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ISO/IEC JTC 1/SWG 5에서 정의한 사물인터넷(IoT) 사물, 사람, 시스템 및 정보 자원이상호 연결된 인프라와 지능형 서비스를 통해물리적 및 가상 세계의 정보를 처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것 https://en.wikipedia.org/wiki/ISO/IEC_JTC_1/SWG_5 사물인터넷을 조금 더 쉽게 말하자면, -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사물들이 제공하던 것 이상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인터넷(Internet) 우리는 인터넷의 정의를 컴퓨터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라고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평소 알고 있던 인터넷의 정의를 다르게 바라봐야 한다. 사물인터넷에서.. 2022.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