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React에서 자주 사용되는 JS 최신 문법(es6) 몇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1. Object Shorthand Assignment
예를 들어 name, age라는 2개의 변수와 person이라는 객체가 있다고 가정하자.
그 객체 안의 key와 value의 값은 아래와 같다.
let name = "Lee"
let age = "20"
let person = {
name: name,
age: age
}
console.log(person);
콘솔창에 찍어보면 name에 변수 name이
age에는 변수 age가 잘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위의 경우처럼 key의 이름과 value의 이름이 서로 같다면
아래처럼 위의 코드보다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let name = "Lee"
let age = "20"
let person = {
name,
age
}
console.log(person);
다시 말해, key와 value가 같다면 그냥 하나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아래 코드처럼 변수명과 객체의 키 이름이 다르면 줄여서 쓸 수 없다.
let name2 = "Lee"
let age = "20"
let person = {
name,
age
}
console.log(person);
(name에 값이 안들어 간 것을 볼 수 있다.)
2. Destructuring
name:"Lee", age:"20"이라는 값을 가지는 객체가 있다고 했을 때
name 혹은 age를 따로 뽑아서 변수에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을 수 있다.
옛날 문법같은 경우 아래 코드처럼 작성을 해야했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let name = person.name
let age = person["age"]
console.log(name, age); //Lee 20
하지만 최신 기술을 통해 조금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 let name = person.name
// let age = person["age"]
let {name, age} = person;
console.log(name, age); // Lee 20
두 줄짜리 코드가 let {name, age} = person;로 짧아진 것을 볼 수 있다.
person이라는 객체에서 name이라는 키값과 age라는 키값을 가지고 와서 let으로 선언해 주는 것이다.
만약, name의 값만 가지고 오고 싶다면 아래 코드처럼 age를 빼버리면 된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 let name = person.name
// let age = person["age"]
let { name } = person;
console.log(name); // Lee
이 문법은 객체뿐만 아니라 배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let array = [1,2,3,4]
let= [a, b] = array
console.log(a,b) // 1, 2
배열이라고 딱히 바뀌는건 없다.
만약, array라는 배열에서 첫번째와 두번째 인덱스를 가져오고 싶다면
위의 코드같이 선언해주면 된다.
그렇다면 1,2를 제외한 나머지 값들은 어떻게 가져올까?
바로 'rest 파라미터 문법'을 사용하면 된다.
...rest를 통해 a,b를 제외한 나머지 값들을 가져올 수 있다.
(많이 사용되지는 않으나 알아는 놓자!)
let array = [1,2,3,4]
let= [a, b, ...rest] = array
console.log(rest) // [3, 4]
※ 이 Destructuring 문법은 state에서 사용되니 필수로 알아놓자!
3. spread
spread는 위의 ...rest와 생김새가 비슷하다.
person이라는 객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 객체를 복사하고 싶을 때 spread를 사용할 수 있다.
let 변수명 = {...복사할 객체명}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let person2 = { ...person }
console.log(person2);
여기서 잠시 아래코드를 살펴보자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let person2 = { ...person }
let person3 = person
console.log(person2);
console.log(person3);
...를 사용한거나 person 객체를 바로 준거랑 결과값이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굳이 ...를 붙여서 할 필요없이
person 객체 자체를 주면 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두 방법은 복사하는 매커니즘이 다르다.
1. 바로 객체를 할당하는 것은 객체의 주소값만을 복사하는 것이다.
(즉, 객체는 하나이고 그 객체를 참조하는 변수가 두개가 된다는 것이다.)
2. ...은 객체를 하나 더 생성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객체는 완전히 다른 것이 된다.)
...을 사용하는데 내용을 더 추가하고 싶을 때는
그냥 뒤에 내용을 더 추가하면 된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let person2 = { ...person, address:"busan" }
console.log(person2);
복사한 객체 안의 내용을 바꿀 때는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let person2 = { ...person, name:"Park" }
console.log(person2);
이 문법 또한 배열도 가능하니 참고하자.
4. 삼항연산자
마지막은 es6문법은 아니지만 React에서 많이 사용되기때문에 추가했다.
삼항연산자는 조건문을 간단하게 한줄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삼항연산자의 구조는 '조건?true일경우 실행:false일 경우 실행' 이다.
let person = {
name: "Lee",
age: 20
}
// if(person){
// console.log(person.name)
// }else{
// console.log("there is no person")
// }
console.log(person?person.name:"there is no person")
위의 코드를 보면 if문을 대체해서 한줄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동기, 비동기에 대해(Synchronous vs Asynchronous) (0) | 2023.10.20 |
---|---|
[JS] Promise와 async/await의 차이 (1) | 2023.10.19 |
[JS] setInterval()과 setTimeout() 함수 (1) | 2022.11.14 |
[JS] localStorage란? (0) | 2022.11.11 |
[JS] ES6 문법을 알아보자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