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2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Chapter 9 전송층 기본 연습문제 풀이 1. 전송층의 주요 임무 중의 하나는 _______ 통신이다. 답: 3번(프로세스-대-프로세스) 2.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_______ 포트 번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서버 프로그램은 _______ 포트 번호를 이용한다. 답: 2번(임시, 잘 알려진) 3. 소켓 주소는 _______ 이 결합된 것이다. 답: 4번(정답 없음) 4. _______는 하나 이상의 발신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_______는 하나 이상의 발신지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답: 2번(다중화, 역다중화) 5. _______는 생산자가 생산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_______는 소비자가 받을 준비가 된 경우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답: 1번(끌기, 밀기) 6. 정지-후-대기 프로.. 2022. 9. 30.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Chapter7 요약2 IPv4 주소 1)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의 연결을 식별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IP계층에서 사용되는 식별자는 인터넷 주소 혹은 IP 주소라고 한다. 2) IPv4 주소는 32비트 주소로 라우터나 호스트의 인터넷 연결을 범용적으로 유일하게 만들어 준다. 3) IP 주소는 장치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변경되기 떄문에 라우터나 호스트가 아닌 연결의 주소이다. 4) IP 주소는 ICANN에서 관리한다. IPv4 주소 방식 1) 주소 공간은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소의 수이다. 2) 만약 프로토콜이 주소를 정의하기 위해 b비트를 사용한다면 각 비트가 다른 두 값(0, 1)을 가지기 때문에 주소 공간은 2^b가 된다. 3) IPv4는 32비트의 주소를 사용하므로 주소 공간은 2^32 .. 2022. 5. 14. 이전 1 다음